은퇴설계 방법 |
은퇴설계도 정해진 rule이 있다
은퇴준비의 시기는 따로 있지 않습니다.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그러나 각자의 재정적 상황은 은퇴에 눈을 돌릴
시간을 주지 않는것도 사실입니다. 정해진 소득, 계속되는 지출 사이에서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은퇴설
계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대출급 갚기에도 빠듯한 가계재정상황에서 먼 미래의 은퇴를 지금부터 준비하라면 직면한
현재의 상황을 무시하는 꼴이 됩니다. 정해진 소득으로 사고에 대한 대비도 해야되고, 아이들 교육비도 준비해야 하
고, 내집 마련 등 쓸일은 무척 많지만 소득은 그에 미치지 못합니다. 그래서 우리가족의 미래를 설계할 때에는 나름
대로 우선순위를 두고 준비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항상 눈앞에 보이는 지출을 하는데 일생을 바치고 맙니다.
그러므로 미래의 중요한 이벤트를 위해 현재의 욕망을 억제하고 rule을 만들어 지키고자 노력해야 합니다.
은퇴설계 순서
1. 수입과 지출의 균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어떤 설계를 하더라도 가계수지가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면 실천할 방법이 없습니다. 적어도 소득이 소비보다 많
아 가계잉여가 발생하도록 만드는 것이 기본입니다.
2. 위험에 대한 대비
가정의 자산이 적을수록, 가족의 나이가 적을수록 위험에 노출되는 정도는 커지게 됩니다. 아무리 여유가 없더
라도 최소한의 위험보호를 위한 보험설계를 해야 합니다.
3. 부채의 청산
가계수지가 균형을 잡게 되고, 위험에 대한 어느정도의 대비가 이루어진다면 본격적인 부채 청산을 실행하여야
합니다. 많은 가정이 부채를 안고 있으면서도 예금을 하고 있는데, 대체로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높아 이중
손해를 보는 셈입니다. 그렇다고 한푼의 여유자금도 없이 몽땅 대출을 갚는것도 현실적으로는 무리가 있습니다.
대출은 정해진 목표에 따라 꾸준히 갚는것이 최선이며, 예금은 단기적으로 필요한 여유자금 정도를 꾸준히 적
립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종잣돈 만들기
부채가 청산되면 본격적인 종잣돈 만들기에 들어가야 합니다. 이때는 본격적인 은퇴설계 시작의 시기이며, 거
북이와 같은 꾸준함이 필요합니다.
5. 투자하기
종잣돈 만들기에 들어가는 시점부터 투자는 시작됩니다. 그러나 이 시기는 본격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할 때로 투자에 역량을 집중할 때입니다. 주택구입의 전략 또한 이 시기에 구체화 될 것입니다. 이러한 우선순
위에 따라 설계를 해 나간다면 은퇴설계의 기초는 확보되는 셈입니다.
나중엔 후회해도 늦는다
은퇴준비의 시기는 따로 있지 않습니다.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그러나 각자의 재정적 상황은 은퇴에 눈을 돌릴
시간을 주지 않는것도 사실입니다. 정해진 소득, 계속되는 지출 사이에서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은퇴설
계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대출급 갚기에도 빠듯한 가계재정상황에서 먼 미래의 은퇴를 지금부터 준비하라면 직면한
현재의 상황을 무시하는 꼴이 됩니다. 정해진 소득으로 사고에 대한 대비도 해야되고, 아이들 교육비도 준비해야 하
고, 내집 마련 등 쓸일은 무척 많지만 소득은 그에 미치지 못합니다. 그래서 우리가족의 미래를 설계할 때에는 나름
대로 우선순위를 두고 준비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항상 눈앞에 보이는 지출을 하는데 일생을 바치고 맙니다.
그러므로 미래의 중요한 이벤트를 위해 현재의 욕망을 억제하고 rule을 만들어 지키고자 노력해야 합니다.
은퇴설계 순서
1. 수입과 지출의 균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어떤 설계를 하더라도 가계수지가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면 실천할 방법이 없습니다. 적어도 소득이 소비보다 많
아 가계잉여가 발생하도록 만드는 것이 기본입니다.
2. 위험에 대한 대비
가정의 자산이 적을수록, 가족의 나이가 적을수록 위험에 노출되는 정도는 커지게 됩니다. 아무리 여유가 없더
라도 최소한의 위험보호를 위한 보험설계를 해야 합니다.
3. 부채의 청산
가계수지가 균형을 잡게 되고, 위험에 대한 어느정도의 대비가 이루어진다면 본격적인 부채 청산을 실행하여야
합니다. 많은 가정이 부채를 안고 있으면서도 예금을 하고 있는데, 대체로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높아 이중
손해를 보는 셈입니다. 그렇다고 한푼의 여유자금도 없이 몽땅 대출을 갚는것도 현실적으로는 무리가 있습니다.
대출은 정해진 목표에 따라 꾸준히 갚는것이 최선이며, 예금은 단기적으로 필요한 여유자금 정도를 꾸준히 적
립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종잣돈 만들기
부채가 청산되면 본격적인 종잣돈 만들기에 들어가야 합니다. 이때는 본격적인 은퇴설계 시작의 시기이며, 거
북이와 같은 꾸준함이 필요합니다.
5. 투자하기
종잣돈 만들기에 들어가는 시점부터 투자는 시작됩니다. 그러나 이 시기는 본격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할 때로 투자에 역량을 집중할 때입니다. 주택구입의 전략 또한 이 시기에 구체화 될 것입니다. 이러한 우선순
위에 따라 설계를 해 나간다면 은퇴설계의 기초는 확보되는 셈입니다.
나중엔 후회해도 늦는다
빠를수록 좋은 은퇴설계가 실제 가정에서 심각하게 느끼기 시작하는 때는 40대 중반입니다. 무엇이든 할 수 있고,
새로운 것에 도전할 수 있을 것 같은 시기에는 은퇴에 대한 부담이 적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일을 벌리기가 두렵거
나 자녀들이 성장하여 학교를 다닐즈음 직장은 자신의 목숨줄이 되기 시작하지만 이때가 되면 일이 흥미가 없어지
고, 몸은 더욱 힘들어지게 됩니다. 통계적으로도 40대 중반이 최대의 소득을 올리는 나이로 나타나는데 이 시기를
지나면서 가계수지 잉여규모도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즉, 소득과 가계잉여의 감소가 시작되는 시기라는 것입니다.
이걸 느낄정도로 일이 진행되면 알게 되더라도 더 이상 개선할 방법이 없을만큼 시간이 지나버린 경우가 대부분입
니다. 죽음과도 같이 은퇴도 피할 수 없는 삶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준비할 거라면 좀 더 일찍 하는것이 좋습니다.
'Rich info > 보험/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보험, 태아보험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4) | 2011.01.05 |
---|---|
노후준비, 현명하게 하는 4가지 방법 (1) | 2011.01.05 |
불안한 노후생활, 국민연금만 믿어도 될까? (0) | 2011.01.05 |
알면 내기 싫어지는 국민연금의 진실 (2) | 2011.01.05 |
퇴직연금의 확정급여형(DB)과 확정기여형(DC) 어떤게 유리한가? (3) | 201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