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준비, 왜 중요한가? |
대한민국 평균 은퇴연령 55세!
71년생 돼지띠 남성 절반이 94세 이상 산다! (2011년 1월 2일자 조선일보 '100세쇼크' 특집)
한국인의 은퇴 후 생활기간 예상보다 2배 가까이 늘어! (2010년 통계청 자료)
대기업 간부 출신 은퇴자도 택배기사, 경비직에 도전! (2010년 12월 5일자 매일경제)
2010년 노인진료비가 2009년 대비 14.9% 증가! (2010년 9월 3일자 중앙일보)
60세 이상 가구 20년 생활비 4억 2,480만원 필요! (2009년 통계청 자료)
71년생 돼지띠 남성 절반이 94세 이상 산다! (2011년 1월 2일자 조선일보 '100세쇼크' 특집)
한국인의 은퇴 후 생활기간 예상보다 2배 가까이 늘어! (2010년 통계청 자료)
대기업 간부 출신 은퇴자도 택배기사, 경비직에 도전! (2010년 12월 5일자 매일경제)
2010년 노인진료비가 2009년 대비 14.9% 증가! (2010년 9월 3일자 중앙일보)
60세 이상 가구 20년 생활비 4억 2,480만원 필요! (2009년 통계청 자료)
평균수명의 증가로 우리나라는 현재 고령사회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위의 헤드라인 기사들의 제목만 보더라도 앞으로
노후가 걱정이 되는 상황인데 현재 생활도 여유가 없어 노후준비를 시작도 못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물론 노후를 걱정하여 미리 준비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보통 보험회사에서 근무하는 지인들을 통해 억지로, 혹은 상품
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고 가입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연금은 본인의 노후를 위한 저축(투자)상품이며, 중간에 해약하게 되면 가입자에게 큰 손실이 생기는 상품인만
큼 가입시 회사별/상품별로 꼼꼼하게 비교해봐야 하며, 본인의 소득이나 저축상황 등을 고려하여 납입기간, 납입금액
등을 결정하셔야 합니다.
노후자금 만들 때 알아둬야 할 5가지! |
1. 매달 월급형식으로 나와야 한다
젊었을 때는 일을 통해 매달 꼬박꼬박 월급이 들어오지만 은퇴 후에는 그렇지 못합니다. 근로소득이 없기 때문에 매달
들어오는 돈이 없습니다. 그래서 가장 문제가 되는것이 매달 생활비인데, 노후자금에서 제일 중요한 원칙은 수입이 끊
기고 힘이 없어 일을 못하는 상태가 되었어도 매달 생활에 필요한 자금이 적당히 유입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KARP(한국은퇴자협회)는 1인가구 최저생활비를 46만원선으로 잡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부부가 매달 최소한 92~100
만원씩은 월급형식으로 생활비를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2. 노부부 모두 사후 시점까지 지급되어야 한다
들어오는 돈이 없습니다. 그래서 가장 문제가 되는것이 매달 생활비인데, 노후자금에서 제일 중요한 원칙은 수입이 끊
기고 힘이 없어 일을 못하는 상태가 되었어도 매달 생활에 필요한 자금이 적당히 유입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KARP(한국은퇴자협회)는 1인가구 최저생활비를 46만원선으로 잡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부부가 매달 최소한 92~100
만원씩은 월급형식으로 생활비를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2. 노부부 모두 사후 시점까지 지급되어야 한다
생활비는 노부부 모두가 사망할 때까지 종신토록 나와야 합니다. 남성보다 여성의 평균수명이 높은것을 감안하면 20
년 후의 평균수명은 '여인천하' 를 예고합니다. 독거노인의 대부분은 할머니들인데 고령화시대에 준비되지 않은 노후
는 할머니들을 가난의 상징으로 만듭니다. 이런 이유때문에 매달 월급형식으로 나오는 노후자금은 노부부 모두 사망
토록 지급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할아버지 사망 후 할머니가 가난에 내몰리지 않습니다.
3. 인플레이션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년 후의 평균수명은 '여인천하' 를 예고합니다. 독거노인의 대부분은 할머니들인데 고령화시대에 준비되지 않은 노후
는 할머니들을 가난의 상징으로 만듭니다. 이런 이유때문에 매달 월급형식으로 나오는 노후자금은 노부부 모두 사망
토록 지급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할아버지 사망 후 할머니가 가난에 내몰리지 않습니다.
3. 인플레이션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물가는 매년 오릅니다. 물가가 오르는 폭은 대략 3~4%이지만, 2008년에는 5%가 넘었습니다. 물가가 오르면 그만큼
돈의 가치는 떨어집니다. 물가가 4%오른다고 가정할 때 30년 후 현재 100만원과 같은 가치를 지니려면 300만원은 되
어야 합니다. 노후자금이 본격적으로 들어가는 65세 이후 현 수준으로 자금이 지급된다면 반토막이 아니라 1/3토막에
가까워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없습니다. 노후자금 마련에 있어 오르는 물가상승 폭만큼 인플레이션에 대한 고려는 필
수적입니다.
4. 이자가 이자를 낳는 복리상품이어야 한다
돈의 가치는 떨어집니다. 물가가 4%오른다고 가정할 때 30년 후 현재 100만원과 같은 가치를 지니려면 300만원은 되
어야 합니다. 노후자금이 본격적으로 들어가는 65세 이후 현 수준으로 자금이 지급된다면 반토막이 아니라 1/3토막에
가까워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없습니다. 노후자금 마련에 있어 오르는 물가상승 폭만큼 인플레이션에 대한 고려는 필
수적입니다.
4. 이자가 이자를 낳는 복리상품이어야 한다
현재 10억이 있어 10억을 은행에 넣어두고 연 5%의 이자를 받는다면 5,000만원입니다. 이것을 12개월로 나눠 받으면
매달 400만원의 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노후에 10억원이라는 목돈을 은행에 넣어둘 수 있는 사람은 얼마 되
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젊은 시절부터 매달 일정금액을 적립해 노후자금을 마련해야 합니다. 그러면 매달 30만원
씩 30년을 저축한다면 원금은 얼마나 될까요? 1억 800만원입니다. 이것만 가지고는 노후자금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복리상품입니다. 처음에는 힘들지만 일정한 크기의 금액이 만들어진 다음에는 저절로 커집니다.
예금이 복리구조로 되지 않으면 노후에 받을 수 있는 금액이 그만큼 적어집니다. 노후자금일수록 복리구조를 선택해
야 합니다.
5. 자녀들이 쉽게 손댈 수 없어야 한다
매달 400만원의 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노후에 10억원이라는 목돈을 은행에 넣어둘 수 있는 사람은 얼마 되
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젊은 시절부터 매달 일정금액을 적립해 노후자금을 마련해야 합니다. 그러면 매달 30만원
씩 30년을 저축한다면 원금은 얼마나 될까요? 1억 800만원입니다. 이것만 가지고는 노후자금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복리상품입니다. 처음에는 힘들지만 일정한 크기의 금액이 만들어진 다음에는 저절로 커집니다.
예금이 복리구조로 되지 않으면 노후에 받을 수 있는 금액이 그만큼 적어집니다. 노후자금일수록 복리구조를 선택해
야 합니다.
5. 자녀들이 쉽게 손댈 수 없어야 한다
빈곤 노인중에는 자식들에게 집을 담보로 대출을 해줬다가 자식이 갚지 못해 집을 잃고 거리로 쫓겨나게 된 노인들이
상당수입니다. 부모는 자식이 고통을 받는것을 지켜보지 못합니다. 어떻게 해서든지 자식의 고통을 덜어주고 싶은 마
음에 자신의 것을 몽땅 내주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노후대책은 물건너가게 됩니다. 따라서 노후자금은 자식들
이 쉽게 손을 댈 수 없는 구조여야 합니다. 쉽게 환매 또는 해약하기 어려운 상품이 바람직하며 부모가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비밀보장이 되어 있으면 더욱 좋습니다.
상당수입니다. 부모는 자식이 고통을 받는것을 지켜보지 못합니다. 어떻게 해서든지 자식의 고통을 덜어주고 싶은 마
음에 자신의 것을 몽땅 내주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노후대책은 물건너가게 됩니다. 따라서 노후자금은 자식들
이 쉽게 손을 댈 수 없는 구조여야 합니다. 쉽게 환매 또는 해약하기 어려운 상품이 바람직하며 부모가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비밀보장이 되어 있으면 더욱 좋습니다.
<노후준비를 계획중이신 분들은 아래 폼메일을 작성하여 보내주시면 무료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빈칸을 작성하신 후 확인버튼을 누르시면 메일이 전송됩니다!
'Rich info > 보험/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준비, 국민연금만으로 충분할까? (7) | 2011.04.13 |
---|---|
4월부터 바뀌는 보험, 어떤 것들이 달라지나? (0) | 2011.04.06 |
연금저축, 퇴직연금 계약 이전에 따른 과세이연 혜택 (12) | 2011.03.18 |
전 국민이 알아야 할 국민연금 기초 상식! (10) | 2011.03.15 |
노후자금, 변액연금으로 준비해라! (10) | 2011.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