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국가별 증시 상승률 |
작년 한해동안 코스피 지수는 22% 상승했습니다. 연초에 인덱스펀드에 1억원을 투자했다면 1년만에 2,200만원의
수익을 올렸다는 뜻입니다. 코스피 지수 22%의 상승은 전 세계 주식시장을 놓고 봤을 때 TOP5에 랭크되는 수익률
입니다.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등에 투자하는 BRIC's 펀드의 수익률을 살펴보면 러시아가 우리나라와 비슷한 22.7%
수익률을 기록했을 뿐 인도는 17.4%, 브라질은 1%의 수익률을 기록해 전체적인 수익률은 아주 저조했습니다.
특히 차이나 펀드는 작년에 최악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중국 상해종합주가지수는 -14.3%의 수익률을 기록하
면서 최하위에 랭크되었습니다.
하지만 2011년에 가장 기대되는 펀드는 차이나 펀드입니다. 중국의 인플레이션 부담이 올해 중반 완화되면서 중국
상해종합주가지수는 15%정도 오를 것이라고 도이치방크는 전망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성급하게 차이나 펀드에 돈을 쏟아부을 필요는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2011년 상반기에는 중국의 인플레
이션이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정부가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서 돈줄을 조이는 정책을 지속하면서 중국 상해
종합주가지수는 맥을 못추는 모습을 보일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올해 하반기에 가서 인플레이션율이 3~4%
로 떨어지고 중국 정부가 긴축정책을 중단하면 주가가 오르기 시작해서 하반기에 15% 상승할 것으로 도이치방크
는 전망합니다.
변액 수익률은?
예를 들어 1999년 1월초 1억원을 주식형 인덱스펀드에 투자하고 2010년까지 12년동안 묻어두었다가 지금 찾으면
적립금은 3억 6,456만원으로 불어나 있을 것입니다. 복리로 따져도 연평균 11.4%수익률입니다.
12년동안 은행 CD금리가 연평균 4.6%라는 점과 비교하면 3배 가까이 차이가 납니다. AA-등급의 3년 만기 회사채
에 투자했더라도 12년 연평균 수익률은 6.3%에 불과합니다.
변액 수익률이 강남 아파트를 앞섰다
물론 변액상품의 주식형 인덱스펀드에 투자하면 사업비와 위험보험료 그리고 펀드운용수수료 등을 공제합니다.
하지만 이런 부분들을 공제하더라도 투자했다면 12년동안 복리로 따져서 연평균 10.9%의 수익률이 나왔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정도 수익률이라면 강남 아파트 재테크 수익률을 능가합니다. 예를 들어 1999년에 1억원을 강남 아파트에 투자
했다면 12년이 지난 지금쯤 2억 6,911만원으로 아파트 가격이 올랐을겁니다. 연평균 8.6%의 수익률입니다.
변액연금은 연평균 8.1%
변액연금에 가입했더라도 주식형 100%펀드에 투자하기보다는 일부는 주식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채권에 투자하는
혼합형펀드가 대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주식 50%, 채권 50%에 투자하는 펀드를 설정하였다면 위험보험료와 사업
비, 그리고 펀드운용수수료 등을 공제하더라도 연평균 8.1%의 수익률은 무난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변액연금에 투자하더라도 강남 아파트에 12년동안 투자했을 때와 비교해서 손색이 없다는 뜻입니다.
<TIP!>
장기 재테크는 주식형펀드를 빼놓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특히 노후준비에 적합한
장기상품인 변액연금과 같은 상품은 최소 10년 이상의 장기투자를 할 수 있어 투자
리스크를 줄일 수 있으며, 수익률 또한 연평균 8~10%까지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노후준비를 계획하시는 분들이나 변액연금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 싶은 분들
은 아래의 무료상담 사이트를 추천해드리니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연금보험 / 변액연금보험 무료 상담 신청하기
암보험, 의료실비보험 등 기타 보험 무료 상담 신청하기
장기 재테크는 주식형펀드를 빼놓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특히 노후준비에 적합한
장기상품인 변액연금과 같은 상품은 최소 10년 이상의 장기투자를 할 수 있어 투자
리스크를 줄일 수 있으며, 수익률 또한 연평균 8~10%까지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노후준비를 계획하시는 분들이나 변액연금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 싶은 분들
은 아래의 무료상담 사이트를 추천해드리니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연금보험 / 변액연금보험 무료 상담 신청하기
암보험, 의료실비보험 등 기타 보험 무료 상담 신청하기
'Rich info > 보험/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설계(은퇴설계) 해야 하는 이유와 현명하게 준비하는 방법! (6) | 2011.02.28 |
---|---|
[연금저축 소득공제 한도 400만원] 가입금액에 따른 환급액 비교! (14) | 2011.02.18 |
노후에는 '연금' 이 효자다! (4) | 2011.01.31 |
야구를 통해 알 수 있는 보험의 중요성! (4) | 2011.01.25 |
개인퇴직계좌 IRA의 세금혜택과 운용방법 (7) | 2011.01.20 |